1. 외국에 갔다 왔거나, 그곳에 거주하는 친구, 친척들에게 전화를 해서 외국인과 영어로 7시간 대화를 나눌 수 있는지 꼭 확인하십시오.
2. 7시간 대화가 된다면, 몇 살때부터 외국인과 친구가 되었는지(즉, 몇 살부터 영어를 접했었는지) 꼭 확인하십시오.
3. 그 사람이 20살이 넘었다면, 7시간의 대화가 아닌 토론을 나눠본 적이 있는지 물어보십시오. 즉, 상대방이 그 사람과 토론을 나누길 원하지만, 시간 관계상 2시간 또는 3시간 등 여러번에 걸쳐서 토론을 나눠본 적이 있는 지를 물어보십시오.
4. 그 사람이 몇년 동안 영어를 배웠는 지 물어보십시오.
5. 당신이 읽고 있는 영어 배우는 책을 경험서라고 생각한다면, 그 책에 저자가 "이렇게 또는 이런 방법으로 자신이 해봤다"라는 형태의 글이 있는지 살펴보십시오.
6. 그래도 그 책을 경험서라고 생각한다면, 저자의 경험 90% 이상이 서술되어 있는지 살펴보십시오.
출처: <영어 비결 경험담은 제대로 조사해야 합니다.>
아라의 영어 제대로 배우기 성필곤 http://www.learnenglishproperly.com/
1.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영어 잘하는 비법에 대한 답글을 쓴 사람의 근거가 어디서 나온 것인가?
2. 그 사람은 영어를 잘 하는 가?
3. 영어 배우는 책을 쓴 사람은 영어로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가?
4. 영어 잘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한 사람의 방법대로 따라해서 과연 성공한 사람이 있는가? 성공한 사람이 있다면, 몇 명이나 되는가?
5. 그 사람이 영어를 잘한다면, 몇 살때부터 영어를 시작한 것인가?
6. 영어 시험 점수가 좋은 사람이라면 정말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가?
7. 성문 기본 영어, 맨투맨으로 공부한 사람들이 영어로 의사소통이 된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?
8. 번역을 했다고 하는데,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가?
9. 영어로 작문을 잘한다면 그 작문 내용을 외국인이 보고 바르게 그 내용을 이해하는가?
출처: <의사소통 안 되는 영어가 영어인가라는 글을 쓰게 된 취지 -2편>
위와 동일
'영어를 배운다는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성필곤-아라의 영어 제대로 배우기] 디시인사이드 영어 갤러리에 있는 글 (0) | 2018.12.18 |
---|---|
카투사, 어학병(통역병), 통역장교, 통역준사관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(0) | 2016.07.26 |
한국인이 여전히 영어를 못 하는 이유 (0) | 2016.07.04 |
[영어 성공 사례] 영어 '참고' 사례 (2) | 2016.06.14 |